본문 바로가기
알고싶은 것/책,서평

나는 내가 낯설다

by DRAGO777 2009. 1. 17.
  • 내용

    • 적응무의식의 개념을 통해 사람의 마음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밝힘
    • 진정한 자기의 모습을 알기 위한 방법과 도움이 되는 자기성찰의 방법을 말함

 


 

  • 무의식이란
  • 적응무의식의 정의와 특성
  • 적응무의식을 통해 해석하는 인간의 느낌과 행동
  • 적응무의식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자기성찰

 

  • 진정한 자신의 모습은 자기가 생각하는 모습이 아닌 남이 바라보는 자신의 모습이다.
  • 역사 : 지정학적 위치 = 행위와 심리 : 유전적 무의식적 기질
  • 책의 구성 - 적응무의식의 개념 설명 + 실제로 생활에 미치는 영향 및 적응무의식을 고려한 바람직한 자기성찰

 

 

 

 

 

들어가는 말 "사회심리학은 가설에 도전하는 삶의 한 방식이다"

 

제1장 천재 프로이트, 바보 프로이트
  • ()

    • 이 책의 두 가지 질문

      • 자기 자신을 그렇게나 자주 잘 모르는 이유
      • 어떻게 자기 지식을 높일 수 있을까
    • 행동주의 심리학 - 머리 안의 일들은 고려할 필요가 없다
    • 행동주의 심리학의 부인 이후로도 - 마음의 영역이 의식인지 무의식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 안 함
    • 머릿속에서 그런 정신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

      • 무의식(unconscious)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꺼려 - 다른 용어
    • 적응 무의식 - 정신분석의 무의식과는 다름
  • 적응 무의식과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어떻게 다를까?

    •  프로이트 前의식 - 관심의 초점을 받지 않는 많은 생각

      • 어떤 목적을 위해 억눌러져 있음 - 이드, 자아, 초자아
    • 적응 무의식 - 현대의 관점 - 사고의 상당 부분을 무의식에 넘길 때 효율적
    • 무의식이 존재하는 이유

      • 프로이트 - 충동들이 이성적이고 의식적인 자아 및 사회 전반에 받아들여질 수 없으므로
      • 현대적인 관점 - 그 마음의 부분들이 의식적인 자각에 접근하지 못하기 때문
      • 여전히 고차원적인 정신작용이 억압 때문에 무의식으로 있음
      • 적응 무의식 - 효율성을 위하여 자각의 바깥에서 일어나고 있음
      • 이러한 관점을 통하여 무의식에 접근할 수 있음
  • 비非프로이드적인 무의식

    • 데카르트 - 데카르트의 이원론, 정신과 육체의 문제

      • 정신을 의식에만 국한
    • 비의식적 지각과 사고의 존재를 가정 - 비의식적 정신작용

      • 저차원의 정신작용은 자각의 바깥에서
      • 두 곳에 관심을 동시에
      • 사고의 자동성
      • 비의식적 정신작용에 그 사람의 편견이 숨어있다
      • 감정에 대한 자각이 부족
      • 비의식적인 자아
    • 정신분석이론을 제안하지 않았다면

      • 비의식적 사고를 자유롭게 이론화
      • 실험기법을 동원
    • 행동주의 심리학  - 정신분석의 각 요소들에 대해 과학적 대안
    • 정신분석이 실험심리학 앞에 가로막아
    • 프로이트 - 무의식적 사고의 광범위함에 관한
    • 적응 무의식이 맡고 있는 역할을 과소 평가
    • 무의식적 현상들을 조금 더 간단하게 설명할
    • 프로이트의 상상과는 다른 매우 다른 거대한 비의식의 체계
    • 엄격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
  • 자기통찰에 이르는 길은 어디에 있을까?

    • 무의식인 것을 의식 속으로 끌어내는 것은 정신분석자의 임무 - 통찰 치유
    • 정보들을 순식간에 비의식에서 분석, 반응
    • 비의식의 정신작용에 직접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할지도
    • 숨어있는 감정과 동인을 찾으려고 노력하되 자기반성에 과도하게 빠지지 않는 것

 

제2장 적응 무의식
  • 무의식이 공휴일이면 어떻게 될까?

    • 의식만 가능한 머리를 가정한다면
    • 자기자극감수(proprioception) - 지각기관으로부터 끊임없이 받는 피드백
    • 의식부터가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작용에 의존
    • 비의식적 사고의 중요성
    • 지각과 언어, 운동계를 조종하는 정신작용들은 대부분이 자각 밖에서
    • 고차원적인 기능(예컨대, 추론과 사고 등)은 의식에서
    • 중요한 임무 중 일부는 무의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
    • 성격체계(personality system)의 많은 부분도 자각 밖에서
  • 무의식을 정의하다

    • '의식에 도달하지는 못하지만 그 사람의 판단과 감정, 혹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의 작용'
  • 미스터 D(무의식이 없는 존재)가 해낼 수 없는 일들

    • 적응무의식 - 무의식적인 사고가 진화론적인 적응의 산물
    • 의식적으로 처리할 수 잇는 정보 40개 정도
    • 매초 1천 1백만 개 - 많은 것을 자각하지 못하는 가운데 활용
    • 학습: 적응 무의식은 패턴 탐지기

      • 건망증 환자 - 새로운 경험을 의식적으로 떠올리는 능력이 전혀 없다
      • 무의식적으로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
      • 암묵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
      • 복잡한 정보 - 더 잘, 그리고 더 빨리
    • 관심과 선택: 비의식은 여과기

      • 자신의 감각에 닿는 정보를 검토하고 그것을 의식 속으로 받아들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비의식적 여과기
      • 우리가 관심을 주고 있지 않는 가운데서도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일이 일어나면 그것을 모니터
    • 해석: 비의식은 통역관

      • 수많은 해석에 열려 있는 어떤 행동에 대한 비의식적 해석
      • 판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의 동기와 의도와 기질에 관한 것
    • 느낌과 감정: 적응 무의식은 평가자

      • 감정 - 현명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 매우 유용한 지표
      • 적응 무의식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이런 감정들을 발생시키는 것
    • 비의식의 목표 설정

      • 주변 환경 속의 사건들도 의식의 자각 밖에서 우리의 목표를 촉발시키고 우리의 행동을 이끌 수 있다
      • 자각하지 못하고 있고 고의적으로는 절대로 행동으로 옮기지 않을 어떤 목표까지 달성할 수도 - 예) 권력과 여성에게 끌리는 현상 
  • 적응 무의식이 추구하는 의제는 무엇일까?

    • 어떤 의제를 염두에?
    • 정확히 평가 - 위험과 기회를 가장 빨리 간파 - 이점
    • 정보 우선순위 - 접근 가능성

      • 자기 관련성
      • 얼마나 최근
      • 과거에 얼마나 자주 사용
    • 좋은 기분 기준 - 심리적 면역체계
    • 정확해야 할 필요성과 좋은 기분을 느끼고 싶은 욕망 사이의 갈등 - 자아가 겪는 주요한 전쟁

      • 우리의 됨됨이와 우리 자신에 대한 느낌을 결정
      • 자신개선을 꾀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알아야 함
      • 적당한 자기기만 - 자신을 긍정적으로, 미래를 낙관적으로
  • 미스터 D를 다시 방문하다

    • 자연선택의 결과 - 완벽한 시스템이 아님
    • 이로운 많은 장점은 약점과 더불어
    • 효율적이고 정교한 적응 무의식 - 자기통찰에서 지불하는 대가 동반

 

제3장 마음을 책임지는 것은 의식일까 비의식일까?
  • ()

    • 프로이트 - 무의식의 정교함과 성숙을 과소평가 - 무의식이 의식적인 자아와는 다른 특징 제창
  • 의식은 어떻게 진화해 왔으며, 그 기능은 무엇인가?

    • 적응 무의식이 의식보다 훨씬 오래 전에 생겼다
    • 의식이 진화한 이유는 뭘까?
    • 의식은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? 의식은 도대체 무슨 일을 할까?
    • 의식은 마음의 행정부에서 지위가 가장 높은 대통령
    • 부수현상설 - 모든 작업을 처리하는 노련한 비의식적 마음의 부산물 - 공보담당 비서관
    • 합리적인 태도 - '의식을 최고 경영자로 보는' 극단적인 시각과 '의식을 부수현상적인 공보담당 비서관으로 보는' 또 다른 극단적인 시각의 중간
    • 마음이 움직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 조금은 있음
  • 적응 무의식과 의식의 특성

    • 적응 무의식은 복합 체계, 의식은 단일 체계

      • 적응 무의식이 수많은 개별적인 능력의 집합체, 의식은 단일체
    • 적응 무의식은 패턴 탐지기, 의식은 팩트(사실) 점검기

      • 패턴을 가능한 한 빨리 탐지, 패턴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- 분석을 더 세세하게 내놓을 또 하나의 느린 체계 - 나쁘지 않은 조합
    • 적응 무의식은 지금 여기 이 순간을 보고, 의식은 장기적인 시각을 갖는다

      • 적응 무의식 - 지금 여기 이 순간
      • 미래와 과거에 대한 개념, 깊이 생각, 장기 목표를 수립하고 그것을 구현
      • 코스를 달리 하도록 그 조직을 조금씩 건드려주는
      • 비의식의 욕구와 특징이 무엇인지를 잘 간파, 그에 따라 계획
    • 적응 무의식은 자동적이고, 의식은 통제 가능하다

      • 자동적인 사고 - 비의식적, 신속, 의도가 깔리지 않고, 통제 불가능, 노력 요구 않음
    • 적응 무의식은 엄격하다

      • 새롭고 서로 모순되는 정보에는 둔하게 반응
      • 비의식의 수준에서 작동하는 자기실현적 예언
      • 이점이 불행한 부산물
    • 생각도 하기 전에 행동부터 나온다

      • 어린이들은 특히 더 자동항법장치로 행동하는 경향
      • 순전히 어린이들의 보고에만 의존할 경우 - 분석이 그릇될 수도
    • 어린이들이 '절감원리'를 배우는 때는 언제일까?

      • 훨씬 전에 절감원리를 이용
      • 적응 무의식 - 의식적인 통역관에 앞서서 절감원리를 배움
      • 적응 무의식이 절감원리를 적용 - 의식에서는 아직 어려움
    • 어린이들은 언제 '마음의 이론'을 배울까?

      • 마음의 이론 - 다른 사람들도 생각과 믿음과 감정을 갖고 있다는 추론
      • 다른 속도로 발달하는 다른 종류의 지식을 반영
      • 언어적이고 의식적인 체계 - 적응 무의식보다 훨씬 더 천천히 발달
    • 의식적인 정신체계가 무의식적인 정신체계를 따라 잡을까?

      • 두 가지 변수 사이의 상호관계를 탐지하는 일 - 의식적인 체계가 무지 서툼
    • 적응 무의식은 부정적인 정보에 더 민감할까?

      • 동물과 사람들이 주변환경을 재빨리 파악하는 '前의식 위험 탐지기들'
      • 긍정적인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가 뇌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처리
      • 적응 무의식이 부정적인 사건들을 막는 파수병의 역할
  • 적응 무의식은 똑똑할까 아니면 우둔할까?

    • 앤터니 그린왈드 - 무의식적 인지 - 극히 제한된 방식으로만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원시적인 체계

      • 빠른 속도로 사람들에게 단어들을 제시
      • 무의식적 마음 - 제한적인 인지 능력 - 많은 부분과 상충
    • 두 마음이 서로 다르다

      • 적응 무의식 - 환경을 재빨리 둘러보고, 어떤 패턴을 탐지하도록 설계, 발생의 역사가 더 깊은 체계, 패턴을 잊어버리는 일에 서춤, 엄격하고 유연하지 못한 추론 제조기, 일찍 발달해서 어른이 된 후에도 계속해서 우리의 행동을 안내
      • 의식적인 자아 - 비의식적 학습의 속도와 효율성에 견제와 균형을 제공, 미래에 대해 보다 신중하게 생각
      • 총체적인 설계가 전혀 없다 - 자연선택은 한 생명체의 현재 상태를 바탕으로 작동

 

제4장 우리는 누구일까?
  • ()

    • 비의식적 성격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길이 없는 가운데 자기 자신에 관한 일관된 이야기를 만듦
    • 성격이론 - 적응 무의식과 의식적인 자아의 구분이 대체로 무시됨
  • 성격심리학의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?

    • 성격 - 어떤 한 사람에게만 '특유한 행동과 사고'를 결정짓는 심리학적 작용
    • 단 하나의 핵심 자아가 있을까? 어떤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을까?
    • 고전적인 정신분석이론 - 억압된 욕망을 다루는 방식
    • 행동주의 심리학자 - 외부의 사건에만 초점
    • 현상학적 접근 - 자기개념self-concept을 연구
    • 특성접근법trait approach - 기본적인 성격적 특성 몇 가지 - 행동 유전학자들에 의해 채택
    • 포스트 모더니스트 - 자아도 유동적이고 변할 수도 있을
    • 성격적 특성과 행동 사이에는 관련성이 별로 없다

      • 월터 미셀 - 성격적 특성과 행동 사이의 전형적인 관련성은 별로 크지 않다

        • 성격과는 별도로 사회적 상황이 그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 평가
      • 성격심리학자 - 행동 예견 지표로 개인적인 차이점; 사회심리학자 - 사회적 상황의 본질과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가

        • 상관계수와 효과크기
      • 성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예상하게 하는 훌륭한 근거
      • 어떤 식으로 개념화하고 측정해야 하는가 - 미셸과 그의 동료
      • 각자가 사회적 상황을 어떤 식으로 해석하고 이해
      • 의식적인 체계와 비의식적인 체계를 구분하지 않는 잘못
    • 두 개의 성격: 적응 무의식과 의식적인 자아

      • 인간의 성격은 두 곳에 머문다

        • 적응 무의식 - 사회 환경을 해석, 행동을 이끄는 꾸준한 동인, 어린 시절에 뿌리, 유전자, 쉽게 바뀌지 않음
        • 의식적 자아 - 다른 원천들을 바탕으로 의식적 자아를 구축
      • 적응 무의식 - 통제되지 않고 암묵적인 방응에 영향; 구성된 자아 - 계획적이고 명시적인 반응 - 성격의 이중성?
      • 비의식적 성격 - 간접적으로 그것을 추론
  • 적응 무의식에 성격이 숨어 있다

    • ()

      • 조너선 밀러 - 인지 및 행동 능력 중에서 놀랄 정도로 많은 몫을 '자동적인 자아'의 존재에 빚을 지고 있다
    • 비의식에는 '어떤 일이 벌어지면, 어떻게 한다'는 식의 판단이 있다

      • 명백한 규칙
      • 적응무의식 - 접근이 불가능 - 행동을 매우 면밀히 관찰, 다양한 상황에서 행동하는 특별한 방식

        •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사실 배제, 해석은 적응무의식에 의해 이뤄진다는 것이 고려 안됨
    • 사람마다 접근성이 높은 카테고리가 다 다르다

      • 접근성 - 적응무의식이 정보를 판단할 때 동원하는 한 가지 규칙

        • 사회적 환경에 대한 해석을 안내하는 '스캐닝 패턴'
      • 환경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의 환경을 예측
    • 전이: 새로운 것에서 옛 것을 보다

      • 프로이트의 전이 - 부모에게 품었던 감정을 새로운 긴간관계에 포개 올려놓는 현상
      • 수전 앤더슨 - 전이는 비의식의 사회적 정보처리 시스템의 일부분

        • 중요한 인물을 닮은 사람을 처음 만날 때 특별히 다르게 반응 - 비의식의 차원에서 빨리
    • 애착의 형태들

      • 연인관계에 대한 감정을 보고
      • 성인애착인터뷰, AAI - 부모와의 관계를 묻는 긴 인터뷰 - 태도와 비언어적인 반응
      • 서로 상관성이 많지 않음
      • AAI - 적응무의식의 중요한 특징인 버릇이 된 애착
    • 이중적인 동인과 목표

      • 애착, 성취, 파워에 대한 욕구 - 성격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
      • 과제통각검사TAT - 암묵적인 동인 평가; 명시적인 자기보고 - 자기 귀속적인 동인
      • 의존욕구 - 여성들의 경우 명시적이고 의식적, 남자들은 비의식적인 측정

        • 간접적인 측정 - 비의식적 동기; 자기보고설문 - 의식적이고 자기귀속적인 동기
    • 다른 사람이 나를 보는 모습 그대로, 나도 나를 보고 있을까?

      • 비의식적 성격과 의식적 성격 - 조화를 이루는 수준은 다소 성격적 특성에 따라 달라짐
      •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는 일보다 자기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는 일에 더 서툴다

        • 친구들은 적응무의식에 더 조율
        • 자아관 - 통제되고 신중한 행동들을 예견하는 데 더 정확 - 구성된 자아constructed self
  • 구성된 자아

    • ()

      • 자아개념 - 어느 정도로 의식적이고 어느 정도로 비의식적인지
      • 의식적 자아개념 - 자아의 서로 다른 부분들을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
      • 이야기들이 그 사람의 행동에 미치는 형향에 대해선즌 의문
      • 명시적인 믿음도 일부 중요한 사회적 행위에 영향
      • 이론과 구성은 그들의 적응 무의식의 성격이나 동인과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
  • 비의식적 성격과 의식적 성격의 기원

    • ()

      • 적응 무의식적 성격 - 유전적 요소, 문화적 경험
      • 빈번한 사용을 통해서만 자동성
      • 말을 배우기 전의 양육 경험 - 암묵적인 동기와는 상관관계
      • 말을 배운 이후의 경험 - 명시적인 동기와 더 큰 상관성
      • 말과 적응무의식 형성의 관계
      • 적응무의식의 형성을 결정짓는 초기의 정서적 겸험 - 문화적 바탕
  • 사람들이 자신의 참모습을 보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?

    • ()

      •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긍적적인 관점
      • 반대되는 어떠한 증거도 쉽게 무시
      • 의식적 개념들이 망가지기를 원하지 않는다
      • 적응무의식의 성격과 적어도 어느 정도는 일치하는 의식적 이론들을 개발하는 것이 본인에게 유익

 

제5장 내가 왜 이런 행동을 하고 있지?
  • ()

    • 우리 모두가 그들처럼 설명을 가공해 내는 경향
    • 행위의 원인을 잘 모름 - 그 원인들을 만들어내는 작화기
  • 일상적인 행동의 원인을 너무 모른다

    • ()

      • 느낌과 판단, 행동 - 성격뿐만 아니라 사회적 상황의 영향

        • 환경이 매 순간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탐색
      • 의식적 자아가 환경에 대한 반응의 이유를 모를 때
    • 귀한 아기의 이름을 지으면서도 왜 그 이름을 택하는지 이유를 모른다

      • 유행하기 때문에 그걸 생각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면 - 이름이 독창적이거나 예쁘게 들릴 것
    • 다리 위의 사랑이 왜 더 간절하게 느껴질까

      • 자신의 육체가 흥분을 느끼는 이유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 - 어떤 사람에게 더 강하게 끌렸던 것
  • 같은 팬티스타킹인데도 굳이 오른쪽에 놓인 것을 선택한다

    • ()

      •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과 판단과 행동의 원인을 잘 모른다
      • 어떤 자극과 관련하여 실제로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면서도 영향을 보고하기도 함
  • 왜 사람들은 자신의 반응에 대한 원인을 제대로 모를까?

    • ()

      • 고차원적인 인지 과정에 자기반성적으로 접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- 반응에 대한 원인을 종종 부정확하게 보고
      • 자신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는 특권 - 정신의 내용물일 뿐 - 정신작용은 아님
      • 정신의 내용물과 정신작용 사이의 구분

        • 판단과 감정, 생각, 행동 중 많은 것 - 적응무의식에 의해 생겨남
        • 적응무의식에 의식적으로 접근하지 못함 - 자신이 특정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들을 꾸밈
    • 인과관계를 묻는 의식적인 질문

      • 순전히 적응무의식 혹은 의식적인 사고의 결과인 예는 상대적으로 드묾
      • 의식적인 사고의 인과론적인 역할은 지나치게 높이 평가

        • 적응무의식에서 나온 반응에 대한 전후맥락을 잘못 파악한 설명에 지나지 않을 때도
    • 그렇다면 당신의 행동의 원인에 대해 더 잘 아는 사람은 이방인일까 아니면 당신 자신일까?

      • 설명을 만들어내는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

        • 두루 통하는 인과관계 이론들
        • 반응과 선행 조건 사이의 관계 관찰
        • 특이한 이론들
        • 개인적인 지식 (생각, 느낌, 추억)
      • 엄청난 양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 - 이방인이 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내놓는 설명보다 하나도 나을 게 없다

        • 특권적으로 누리는 그 지식 중 상당수가 겉으로 보이는 것만큼 그렇게 정확하지는 않다
        • 정보의 엄청난 양 - 원인을 정확히 꼬집어 내는 일을 더 어렵게 만들 수도
    • 사람들은 자신의 기분을 어느 정도로 잘 예측할까?

      • 자신의 반응의 원인과 예측 요인들을 놓고 추론

        •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 같은 이방인들이 접근하지 못하는 정보 이용
        • 개인적인 정보는 본인에게 도움이 되기도 하고 방해가 되기도
      • 판단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더욱 겸허한 자세
  • 확실성은 착각이다

    • ()

      • 이방인의 수준 -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덜 갖게

        • 정보의 양이 오히려 그릇된 확신
      • 확실성이라는 착각 - 판단을 내릴 때 이용하는 개인적인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짐

        • 제시하는 설명의 정확성 - 동원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는 않음
제6장 사람들은 어떻게 감정을 느낄까?
  • 느낌은 수정이 불가능하다?

    • ()

      • 무의식적인 느낌
      • 감각과 느낌에 대한 보고는 수정불가능하다 - 느낌에 대한 믿음은 의심의 대상이 될 수 없다
      • 수정불가능성이라는 학설이 틀렸다

        • 수정불가능성의 이유 - 측정의 문제, 이론 문제
    • 감정의 측정이 어렵다는 것이 문제다

      • 기분에 대해 내놓는 보고의 정확성에 대해 의문 - 비의식적인 기분
      • 꿈을 통해 비의식의 기분/감정을 확인할 때도 있었음 - 의식과 비의식의 경계가 명확한 것 같지는 않다
    • 무의식적인 감정도 있다

      • 무의식적 기분들이 적응성을 갖는 이유 - 정신분석 이론, 적응무의식
    • 동성애 공포증은 동성에 대한 끌림의 위장이다

      • 감정들을 의식 밖에 묶어 둘 수 있다 - 프로이트
      • 극도의 동성애 공포증을 보이는 사람들이 실은 동성애 욕망을 억누르고 있을지도
    • 감정들은 기능적이다. 그렇다고 감정들이 의식적일 필요가 있을까?

      • 억압이 활발히 작용 - 수정불가능성을 옹호하는 사람 -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자각한즌 것이 매우 유익
      • 감정이 기능적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의식적이어야만 하는 것일까?
      • 감정이 천천히 생겨나고, 심지어 사람이 위험한 사건을 해결할 조치를 취한 뒤에야 일어나는 경우도
      • 육체적 반응이 의식적 감정을 일깨운다 - 윌리엄 제임스

        • 의식적 감정 - 기능에 이바지하지 않음, 비의식적 인지 과정의 부산물에 그침
      • 어떤 식으로 직접 행동의 반응으로 이어지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

        • 감정과 느낌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보다 선행 - 이 감정과 기분들을 늘 자각하는 것은 아님
  • 적응 무의식도 느낀다

    • ()

      • 감정의 정의를 다시 - 감정을 자각하지 못하면서도 그것을 가질 수도 있다
    • 비의식의 조기경보시스템

      • 환경에서 나오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두 개의 경로 - 감정의 로우 로드와 하이 로드 - 르두

        • 다른 노선으로 편도체에
        • 로우로드 - 빨리 도착, 정보 처리는 최소한; 하나의 조기경보시스템
        • 하이로드 - 느리지만 대뇌피질 안에서 정보에 대한 분석;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더 충실하게 판단
      • 비의식적 감정이 있다거나 그들이 자각하지 못하는 정신작용이 있음? - 의미론적 이슈

        • 르두 - 뇌의 상태와 신체반응 - 근본적인 사실; 의식적인 느낌 - 당의와 같은 장식
      • 르두의 한계

        • 모든 연구가 두려움이라는 한 개의 감정에 대해
        • 하이 로드 정신 작용도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
        • 의식적 감정과 비의식적 감정의 공존을 허용하지 않음
    • 사랑하는 한편으로 미워하기도 한다

      • 그 감정으로 관심을 돌리 때까지는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기 때문
      •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는 일시적
      • 문화적 규범에 매우 민감 - 문화적 감정의 법칙
    • 적응 무의식은 이렇게 느끼고, 의식은 저렇게 느낀다

      • 자신의 느낌에 확신이 서지 않을 때 - 자신의 행동이나 신체에 나타나는 반응을 길잡이로 삼음
      • 귀인과정attribution process - 흔히 적응 무의식 - 비의식에서 신속하게
      • 특별히 재미있었다고 평가하지 않은 이유 - 적응무의식은 그 영화가 재미있다고 추론

        • 물음이 던져졌을 때 - 개인적인 이론을 동원
      • 암묵적 차원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- 신속하고, 암묵적이고, 부정적인 반응들이 무의식인가?
      • 감정에 대한 의식적인 이론들이라는 연막 - 내면을 들여다보며 자신의 감정을 반성하는 노력보다는,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잘 관찰하느냐의 문제
    • 비의식적 감정과 태도를 논하는 이론을 추구하며

      • 적응무의식에서 나온 감정들은 의식으로 나타난다
      • 감정을 낳는 정신작용들, 적응무의식의 특징들은 접근이 불가능 - 경우에 따라 감정을 자각
      • 감적들이 자각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환경 세 가지

        • 억압
        • 눈치채지 못하거나 자각하려는 노력을 태만히 하는 것
        • 의식적인 이론과 작화라는 연막 - 문화적 감정법칙, 개인적인 기준, 느낌에 대한 의식적인 이론들과 추론
      • 개인적 이론과 문화적 이론이라는 장막 사이를 꿰뚫어보는 일에 탁월
      • 어느 정도는 감정표현불능증

 

제7장 미래에 느낄 감정까지 미리 알다
  • ()

    • 무엇을 바랄 것인지를 알아야 - 감정예보affective forecasts
    • 그 반응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인지도
    • 영속성선입견durability bias - 반응이 지속될 시간을 과대평가
  • 감정적 반응의 덧없음이여!

    • 돈은 사랑도 행복도 사주지 못 한다
    • "난 그 슬픔에서 결코 헤어나지 못할 거야."

      • 의미를 발견
      • 긍정적인 무엇인가
      • 종종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
      • 인생의 굵직한 사건에 대한 반응에서도 놀랄 정도의 탄력 - 일상의 감정적인 사건에도 유연함
      • 최근에 일어난 일들만이 중요
  • 사람들이 그렇게 탄력적인 이유는 뭘까?

    • ()

      • 사람의 기질에 좌우
    • 중요한 것은 뭔가를 추구하는 행위 그 자체이다

      • 목표를 추구하는 행위
      • 흐름과 몰두
    • 비교가 고통을 낳는다

      • 비슷한 경험과 어떻게 비교되느냐
      • 기준의 변화 - 무엇을 비교 기준으로 삼는지

        •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
    • 행복은 혈압과 비슷하다

      • 극단적인 감정을 갖지 않도록 지켜주는 메커니즘
      • 대립과정이론opponent process theory
      • 육체의 체계들이 혼란을 일으킬 때 생리학적 차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 - 감정이 그렇게 단명한 이유
      • 반응의 한 가지 형태 - 꽤 의식적이고 신중
      • 감정의 중화 - 생리적인 과정(대립과정), 신중한 행동전략
    • 세상을 이해하는 쪽으로 인생사에서 의미를 찾다

      • 특별한 것에서 평범한 것으로 바꾸는 심리적 과정
      • 이해 가능하고 예측 가능하게 보이도록 재해석
      • 세계관이 그 사건에 어울리도록 변한다
    • "난 그렇게 될 줄 알았는데..."

      • 그것을 조금 더 예측 가능하고 불가피했던 일로 보는 것
      • 세상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보다 오래 지속되는 쾌감
    • 심리적 면역체계

      • 부정적인 사건들 - 추가 방어체계
      • 일부는 상당히 의식적이고 계획적
      • 심리적 면역체계
  • 왜 사람들은 자신이 매우 탄력적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할까?

    • ()

      • 탄력성에 대한 인식 부족 - 영속성 선입견
    • 내면세계의 변화에 대한 예측은 터무니없이 부정확하다

      • 평상화 과정 - 그 과정을 간과
      • 면역무지immune neglect
    • 외부 세계가 어떤 식으로 변할 것인지에 대한 예견이 너무 엉터리다

      • 외부 세계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고려하지 않는다
      • 알면서도 '영속성 선입견'을 범하는 경우도 - 자신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행위들로 꽉 채워질 것이라는 점을 상기하지 못하는 것 - 초점성focalism
      • 외적인 사건들이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
      • 심리적 평상화 과정을 통해 너무나 빨리 세속적인 사건이 된다는 사실
      • 예측할 시점에는 그 사건이 너무나 진기하고 너무나 강렬
      • 자기지식을 개선시키는 것이 언제나 옳은 일일까, 아니면 약간의 자기기만이 좋은 것일까

 

제8장 자기성찰과 자기서사
  • ()

    • 자기성찰 - 광범위한 의미 - 다양한 자기성찰 사이에는 공통점
  • 회중전등, 고고학적 발굴, 그리고 자기서사

    • 의식적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생각과 감정들을 밝혀주는 회중전등
    • 정신분석을 고고학적 발굴로 은유 - 프로이트 - 무의식으로 남아 있던 것들이 의식적인 것으로

      • 회중전등보다 어려운 점 - 무의식적 사고와 감정은 오래된 것일 때가; 방해하려고 애쓰는 적극적인 힘(억압과 저항)
    • 자기성찰을 개인의 서사로

      • 공백을 메우고 유물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파악히기 위해 - 서사가 끼어듦
    • 많은 성찰과 반성 - 적응무의식의 내용물을 비출 수는 없음
  • 일상의 자기성찰

    • ()

      • 자신이 선호하는 점들을 충분히 자각하지 못하고 있거나 그것들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음
      • 자기성찰이 사람들에게 그들의 감정을 잘못 알려줄 수도
      • 자기성찰 - 무의식에 이르는 마법의 문이 아니라 구성과 추론의 한 과정

        • 구성의  과정이 도움이 되는 때와 도움이 되지 않는 때
    • 우리의 마음은 논리적으로 생각하지 않게 되어 있다

      • 감정의 이유를 떠올리는데 전혀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- 이유의 정확성은 의심스럽다
      • 행위의 은밀한 원천들 그 뒤에까지 닿을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다 - 칸트
      • 어쩌다 마음에 떠오르는 이유들을 근거로 자신의 감정에 대한 이야기를 새롭게 지어낸다
      • 이유 분석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꾸며내는 이야기는 진짜 감정을 잘못 표현할 수도
      • 이유를 분석하지 않았던 대상자들의 예상이 더 정확 - 好不好에 관해서는 분석보다는 직관이 정확
      • 충실한 정보가 바탕이 된 본능적 감정과 정보에 입각하지 않은 본능적 감정을 구분

        • 건전한 정보에 바탕을 둔 본능적인 감정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정보를 수집하고, 그 감정을 지나치게 깊이 분석하지 않는 것
    • 어떤 감정의 이유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언제나 그렇게 나쁠까?

      • 주제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밝은 사람 - 감정에 대한 태도를 바꾸지 않는 집단
      • 이유들에 대한 분석을 한번 이상 한다고 해서 특별히 도움이 되는 부분은 없는 것 같았다
    • 인식하라, 본능적인 감정을

      • 자기성찰을 볼 수 없었던 무엇인가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하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된다
      • 상황에 대하여 이미지까지 동원해 가며 상세하게 묘사 - 암묵적 동기에 의해 일어난 감정들까지 격발

        • 실제로 경험 -  진정한 느낌을 흐릿하게 만들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자기 성찰은 피할 수
      • 충분한 시간을 갖고 미래의 상황을 대단히 세세하게 상상
  • 자기성찰에도 정도正道가 있다

    • 비통함이 느껴질 때에는 반추를 하지 마라

      • 문제에 직면하면 그것을 거듭 반추
      • 심사숙고는 우울한 참여자들을 더 우울하게
      • 불행과 그 불행에 대한 깊은 생각 - 더 심한 우울증을 부름
    • 자기성찰로 의미를 발견해내다

      • 삶에 영향을 미친 매우 중요한 감정적 문제들 - 깊은 생각과 느낌을 글로
      • 감정적 경험에 대해 글을 쓰는 행위 - 단기적으로는 괴로운 일;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

        • 억압으로 인한 스트레스 제거
        • 사건에 대한 이해도를 높여줌으로써 마음의 병을 치료
      • 의기소침할 때 깊은 생각 - 우울은 부정적인 생각에 관심을 집중케
      • 글쓰기 - 자신의 문제에 보다 객관적인 시선, 유연한 방식으로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서사를 구성
      • 고의적으로 생각을 억압하려는 시도는 실패한 훈련
      • 설명되어 그 사람의 라이프 스토리로 녹아든 사건으로
      • 감정의 이유들을 분석 - 좋지 못한 '자료들'로 눈길
      • 페니베이커의 글쓰기 훈련이 유일하게 의미 있는 자기성찰
    • 심리요법: 보다 훌륭한 이야기들을 구성하다

      • 전까지 자신이 품고 있던 이야기보다 더 유익한 이야기를 새로 개발하는 일에 성공
      • 심리치료 - 자신의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를 채택하여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과정
      • 건강한 자아 이야기 - 비의식적 목적과 감정, 기질의 특성을 포착할 수 있어야

 

제9장 나 자신을 알려면 밖을 보라
  • 심리학을 읽으면 내가 보인다

    • ()

      • 심리학 연구에 관한 보고서들을 읽음으로써 자신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
    • 당신은 광고의 영향을 받고 있을까?

      • 낡은 방식의 광고를 더 선호 - 내 자신이 직접 선택을 자각하고 싶어서
      • 잠재의식적으로 보여준 정보가 사람의 감정과 판단에 미묘한 영향
      •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의 행동에도 그런 효과가 미치는지를 측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
      • 일상의 광고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확률이 훨씬 더 높다
      • 광고의 힘을 인식하지 못할 경우 우리는 광고에 더 취약할 수밖에
    • 당신은 인종차별주의자일까?

      • 인종차별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주는 수치; 여전히 인종차별의 유령이 떠돌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

        • 숨기는 방법을
        • 비율로는 줄었지만 수적으로는 아직 상당
        • 같은 사람이 인종적 편견을 가질 수도 있고,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

          • 적응무의식은 편견이 느껴지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방법을 배울 수도
          • 적응무의식에 뿌리를 박고 있는 관습적인 태도와 그들의 의식적인 믿음 사이에 괴리가 있을 수도 있다
        • 비의식적 욕망과 동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- 자아 외부통찰self-outsight
  • 다른 사람의 눈으로 나를 보다

    • ()

      • 자기이론이 변한 적응무의식과 조화를 잘 이루지 못하는 케이스
      • 자기이론을 포기하고, 다른 사람이 그들에 대해 생각하는 관점을 받아들이는 것이 더 현명할 수 - 타인의 거울에 비친 자아looking glass self
      • 장애가 많음
    •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우리가 어느 정도로 잘 알 수 있을까?

      • 자기이론과 다른 사람의 눈에 비친 모습 - 우선 거기에는 불일치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
      • 다른 사람들이 진정으로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- 무척 어렵다는 사실
      • 자신이 다른 사람들의 눈에 어떤 식으로 비치는지에 대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인식
    • 자기이론 수정에 다른 사람들을 이용해야 하는 것일까?

      • 진화론적인 차원에서 적응력을 높여주는 환상 일부를 깨어버릴 수도
      • 제대로 먹히지 않는 환상을 계속 간직하는 일에는 위험이 따름 - 인생의 중요한 결정이 걸린 때
      • 자신의 것과는 매우 어긋나는 관점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특히 더 그들의 평가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
      • 대체로 자신에 대해 조금 과장된 관점 - 자아관이 매우 부정직인 경우도 간혹 있음

 

제10장 나의 행동을 관찰하여 바꿔나가다
  • ()

    • 행동을 조심스럽게 살피는 관찰자가 됨 - 자신에 대해 많을 것을 배울 수
  • 행동을 관찰하면 내면이 보인다

    • ()

      • 행동에 대한 관찰은 자기지식의 중요한 원천 - 대릴 벰

        •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그 이유를 지식에 근거하여 올바르게 추측
        • 마음을 과학적 연구의 가치조차 없는 블랙박스로 다루는 급진적인 행동주의의 한 잡종
      • 감정이 그렇게 분명하지 않을 때가 더 많다
    • 자기지각의 과정은 자기표출일까 아니면 자기꾸밈일까?

      • 자기지각의 과정 - 자기표출self-revelation or 자기꾸밈self-fabrication?
      • 몰랐던 어떤 감정들을 드러낼 수만 있다면 매우 바람직 - 새로운 감정을 꾸며내는 결과가 된다면 썩 좋은 전략이 되지 못함
      • 상황이 자신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무시하면서 자신들이 내면의 태도를 바탕으로 행동했다고 추론하는 경향을 강하게 - 기본적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
      • 상황적 속박이나 자극이 매우 명백하다면 - 내면의 상태를 꾸며내는 일을 그만 둠
      • 상황적 영향이 너무나 강하면 - 행위를 상황의 탓으로 과도하게 돌리며, 얼마나 원하는지를 과소평가
      • 사람들의 행동이 한 가지 이상의 내면적인 상태의 결과로 나올 수 있는 경우

        • 신체적 흥분에 대한 설명이 한 가지 이상일 때
      • 자기꾸밈이 다반사 - 자신의 감정을 추론하기 위해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 자기지각의 과정은 자기성찰에 이르는 길로는 그렇게 좋지 않을지도
      • 충분히 자각하지 못하는 감정을 느낄 때도 - 자기지각의 과정이 이 감정을 드러내는 힘을 발휘
    • 추론하는 마음은 어느 마음일까?

      • 진짜 감정을 파악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의식적으로 관찰 - 적응무의식 또한 우리의 행동에서 추론
      • 적응무의식은 사람의 육체적 흥분에서 그영화가 재미있다는 추론 - 의식적인 자아들은 다른 결론
      • 자기지각의 과정을 의식적으로 수행하도록 노력

        • 의식에서 나오는 자기서사, 비의식의 차원에서 일어나는 변화 - 조롸를 더 잘 이룰 가능성이 커짐
      • 의식적인 이야기들이 지나치게 부정적이거나 제한적일 때가 종종 - 비의식적인 특징과 능력, 감정에 더 잘 어울리도록 이 이야기들을 수정하는 것이 이로움

        • 의식적인 이론들은 지나치게 긍정적일 때가 더 자주
        • 성장하고 변화를 꾀하려면 바르게 인식할 필요
  • 훌륭한 일을 하라. 그러면 훌륭한 존재가 될 것이다

    • 비의식의 상태를 보다 긍정적인 자아 이야기에 맞춰 바꾸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
    • 비의식적 기질을 바꾸는 첫 단계는 우리의 행동을 바꾸는 것

      • 적응무의식에게 태도와 감정을 추론해 낼 새로운 '자료들'을 제공
      • 횟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행동이 무의식적이 되고 자동적이 됨
      • 의식적 개념에 맞춰서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적응무의식에 변화를 부르는 좋은 방법
    • 의식적인 서사와 비의식적인 마음 상태를 동시에 변화시키는 자기 개선 - 행동을 먼저 변화시키라라는 전략은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효력
    • 변화 중 일부는 단순히 연습을 한 덕
    • 새로운 행동 방식 이상 - 자아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할 기회
    • 무의식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자아들은 무의식적인 행동을 낳음
    • 사람의 자아관은 그 사람의 행동과 일치를

      • 자원봉사 활동이 증진시켜주는 자기 이미지의 변화
    • 훌륭한 일을 하라, 그러면 훌륭한 존재가 된다
    • 자신에 대해 조금 덜 생각하고 그 대신에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노력 - 실천하고, 실천하고, 또 실천하라
  • 자아 이야기에도 기준이 있다

    • 분명한 기준은 뭐니뭐니 해도 정확성
    • 긍정적인 자기 변화를 이룩하기 전에 반드시 발견해야 하는 단 하나의 진실은 결코 없다
    • 포스트모더니스트적인 관점 - 자기서사를 그 자체의 정확성이나 역사적 진실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의미 - '진정한 자아'란 것은 존재하지도 않음
    • 비의식적인 목표와 감정, 기질들의 본성을 정확히 포착할 수 - 이야기와 그 사람의 적응무의식 사이에는 어느 정도 조화가
    • 의식적인 목표가 그들의 비의식적 목표와 조화를 이루는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훨씬 더 행복
    • 프로이트 치료의 목적 - 무의식을 의식으로 만드는 것
    • 적응무의식에 직접적으로 닿는 파이프라인은 그 어디에도 없다 - 추론해 내야하는 대상
    • 정확한 이야기들이 근본적으로 다를 수도
    • 마음의 평화peace-of-mind 기준
    • 경험이 일관되게 설명되어 하나의 라이프 스토리에 녹아들기만 하면 - 그 경험에 대해 더 이상 많이 생각하지 않게 된다
    • 신뢰성believability - 자신을 맡기는지
    • 한 개의 자아에 지나치게 고착되어서는 안 되며 - 동시에 자기 연속성self-continuity
    • 성장하고 변화해감에 따라 수정할 필요 - 정확성과 마음의 평화, 신뢰성의 기준 - 지나치게 많은 자기반성을 피하게 함

      • 멋진 자기 내러티브는 끊임없이 다시 들려줄 필요가 없다
    • 자신이 되고자 원하는 그 사람처럼 행동할 능력

 

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