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알고싶은 것/책,서평

읽은 책 (22.08.03) - 세상을 바꾼 위대한 과학 에세이

by DRAGO777 2022. 8. 4.

세상을 바꾼 위대한 과학 에세이
마틴 가드너 지음 | 전동렬 옮김 | 파워북 | 2009년 

  • -22.08.03.
  • 이해 3.5 / 흥미 3.5
  • 여러 분야 전문가들의 과학과 인간에 대한 생각들 

 

전체적 감상

  • 글이 씌여진 당시에 새로운 이론, 사상 등이 미치는 또는 미칠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며, 그 이론, 사상 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었음
  • '고전'은 내가 접했던 것보다 훨씬 상세하고 깊이가 있음.
  • 과학과 철학
  • 원작 각각의 난이도가 달라서 안 좋은 점이 있었음.

 

챕터별 내용 발췌 및 생각

  • 존 듀이 - 진화론이 철학에 미친 영향
    • 33 "종의 기원"이 제시한 사고 방식 덕분에 우리는 지적 논리의 혁신뿐 아니라 도덕, 정치, 그리고 종교적 변화를 겪게 된 것이다.
    • 37 만물은 변하며, 그 중 변하지 않는 부분이 종 --> 철학적 의미
    • 39 종에 관한 전통 개념은 목적론을 내포
    • 40 설계론적 주장 ... 목적론은 자연을 명료하게 설명함으로써 과학 발전을 가능성을 열어 ... 인간에게 윤리적, 종교적 노력을 허용하고 그 가치를 보장 ... 도덕적 권위와 함께 과학적 연구의 근거가 확립
    • 41 설계론 대 우연론
    • 43 특정한 변화를 무조건 수용하는 자세에서 특정한 변화가 구체적인 목적에 어떻게 부합하며 어떻게 저항하는가라는 질문으로 바뀐 것 ... 한순간 모든 것의 창조를 끝낸 지적 존재가 지금 이 순간에도 창조를 계속하고 있는 지적 특성으로, 선이라는 궁극적 목적이 구체적인 정의와 행복을 증진하는 경험으로 대체
    • 44 이해가 가능한 우리 주변의 힘이 소중한 일상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경험적 증거
    • 44 철학은 우리의 일상적인 갈등을 더욱 진지하게 분석하고 설명하는 방식이나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, 더 나아가 도덕적 정치적 진단과 예측이 가능하게 만드는 도구
    • 45 관념을 현실에 적용시키는 시도를 하게 될 것
    • 45 구시대: 설계론, 관념적, 이상, 초월적 / 다윈: 우연론, 경험적, 실제적
    • 46 "종의 기원"을 정점으로 하는 과학 혁명이 결과적으로 구시대의 낡은 문제들을 새로운 사상에 녹여 넣는 강력한 용매 역할
  • 스티븐 제이 굴드 - 자연과 도덕
    • 47 단속평형설punctuated equilibrium은 "자연은 때론 점프하기도 한다"
    • 48 "우주는 도덕적 목적과 무관하게 운행된다. 사회의 윤리적 발전은 우주의 섭리를 모방하거나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정면으로 대결하는 과정이다."
    • 53 맵시벌에 관한 대부분의 설화는 숙주의 몸부림과 기생말벌의 냉혹한 효유렁이라는 두 가지 주제로 전개
    • 56 기생 말벌이 신의 창조물을 통해 영적 존재를 유추하려는 낡은 이론인 자연 신학에 도전하는 유별난 곤충으로 등장
    • 57 눈에 보이는 자연의 잔혹함 뒤 어디엔가 신의 자비가 숨어 있다고 주장
    • 60 자연 현상과 정반대로 행동함으로써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다는 주장 - 자연은 야만적, 비윤리적
    • 61 있는 그대로 자연을 받아들이는 태도 ... 자연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보편적 선을 발견할 수 없는 것은 우리의 통찰이나 재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자연에는 인간의 틀에 맞는 윤리적 메시지가 없기 때문
    • 앞의 글에서 이어지는 설계론(자연에서 윤리를 찾는 태도)에 대한 비판
  • 장 앙리 파브르 - 진왕소똥구리
    • 문학적이다. '코스모스', '로마인 이야기'처럼
  • 길버트 키스 체스터톤 - 요정 나라의 논리
    • 91 법칙에 순응하여 움직이는 자연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는 전혀 없다
    • 별도 글
  • 칼 세이건 - 소금 한 알에 담긴 우주를 아시나요
    • 102 "무한한 자연만큼 풍요로운 것은 없다"
    • 102 과학은 단순한 지식의 집합이 아니라 지식 전체를 포괄하는 사고방식
    • 104 가설을 세우고, 타당성을 점검하고, 그것을 다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가설을 입증하거나 구체화하는 실험을 고안 ... 과학적 작업
    • 105 우주는 모든 것을 알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과 전혀 상관없이 이처럼 적대적인 존재
    • 106 규칙성의 탐구는 복잡하게 움직이는 거대한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
    • 106 자연이 규칙적 ... 극도로 혼돈스러운 우주 ... 인간적인 지적 만족이나 열정, 희열을 찾기는 불가능
    • 108 법칙을 수용할 만큼 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 또한 우리가 얼마나 개방적이냐에 달려있다 ... 뇌 구조 ... 우주의 구조에 의해서도 좌우
    • 108 불가사의하지만 동시에 지적으로 이해 가능한 우주를 선호
  • 조셉 우드 크러치 - 콜로이드와 결정
    • 116 항상 완벽한 구조를 드러내는 것은 바위가 아니라 눈송이와 성에꽃이며 생명은 표면적으로 미약하나마 이러한 완벽한 구조를 거스르는 존재이다. 질서와 순종은 무생물만이 가진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.
    • 117 생명은 그 불완전함, 불안정함과는 별도로 그 희귀성만으로도 가치가 있지 않을까
  • 호세 오르테가 이 가제트 - 전문화의 야만성
  • 토머스 헨리 헉슬리 - 과학과 교양
  • 존 버로스 - 과학과 문학
  • 아이작 아시모프 - 과학과 아름다움
  • 어니스트 네이글 - 자동화
    • 186 사회적 통제가 점점 더 중앙 집중화된다는 사실 자체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. … 언론의 자유와 적극적 참정권을 보장받고, 보다 안정되고 폭넓은 삶을 누릴 수 있는가의 여부다. … 자유 사회를 위한 이러한 기본적 권리가 우리의 지향점이어야
    • 자기 규제 시스템에 기반한 자동화가 개인과 사회에 미칠 영향 예측
  • 조나단 노턴 레너드 - 외계 생명
  • 로버트 오펜하이머 - 현대사회와 과학
    • 213 과학은 기술을 통하여 사회에 유용성을 가지게 된다. 그밖에 과학의 방법론 등을 사회에 활용할 수 있다.
    • 과학의 현황과 특성, 그에 따른 사회와의 관계: 긍정적인 면은 있으나 한계가 있으며 모든 답을 줄 수는 없음
  •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- 종교와 과학
    • 과학도 종교와 마찬가지로 항상 옳지는 않다 - 우열이 없다
    • 종교와 과학은 각각의 역할이 있다
    • 종교는 변화를 수용해야 하며, 그 본질은 통찰임을 알아야 한다
    • 저자는 종교를 변론하지만 나는 동의할 수 없다
  • 줄리언 헉슬리 - 새들의 마음에 관한 성찰
    • 244 이성 - 조건에 따라 알고리즘대로 / 감성 - 변동성?
    • 244 행동으로 판단한다면 동물에게도 감성이 있다
    • 246 감성이라는 용어는 이성의 반댓말로 쓰임 → 사람의 감성도 그렇게 생각했을까?
    • 260 새들은 비록 지적인 면에서는 뒤떨어지지만, 그 누구보다도 풍부한 감성을 가진 동물이다.
  • 아서 스탠리 에딩턴 - 결정론의 몰락
    • 266 결정론이든 비결정론이든 모든 이론은, 우리의 감각적 경험의 규칙성, 특히 어떤 원인에 뒤이어 규칙적으로 어떤 결과가 일어난다는 경험을 규명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. → 학문의 근간
    • 269 라플라스가 정의한 과학의 목표를 제1목적, 그리고 열역학에서 비롯된 새로운 과학의 방향을 제2목적이라고 부르기로 하자. … 고전 법칙의 통계적 특성이 밝혀지면서 제1목적을 지향하는 과학은 명분을 잃게 되었다.
    • 271 최근에는 제2목적에 부합하는 불확실성의 확률로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물리 법칙을 포괄할 수 있게 되었다.
    • 271 수학(이데아) - 가능, 불가능 / 물리(현실) - 확실, 불확실
    • 272 현재 물리학은 모든 영역에 걸쳐 제2목적을 지향
    • 277 물리학은 인과율과 관계없는 통계 법칙으로 우리의 경험을 기술 … 관측된 증거에 의하면 인과율은 경험과 아무런 관련이 없음 … 지금의 인과율은 완벽하게 입증되지 않은 하나의 가설
    • 278 물질세계의 결정론은 자유의지 문제에 모순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.
    • 280 물리적 조직의 불확실성만으로 의지의 뚜렷한 자유성을 설명하기에는 뭔가 석연찮다. … 자아는 훨씬 더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물질적 조직과 구별된다 → 완전한 기계론은 아님
    • 281 인간의 자유 의지와, 또 다른 측면의 자유인 물질적 불확실성을 구별 → 二原論
    • 물리학의 방향은 비결정론적이 되었음. 자유의지는 그러한 비결정론으로 다 설명할 수 없음.
  • 올더스 헉슬리 - 멋진 신세계의 과학
    • 소설 ‘멋진 신세계’를 배경으로 하는 에세이
    • 전체주의는 과학도 예술도 제한한다 (진리의 과학, 아름다움의 예술)
  • 레이첼 카슨 - 빛이 닿지 않는 바다
    • 심해의 환경과 그곳에서 사는 생물들에 대한 이야기
  • 모리스 메테를링크 - 결혼비행
    • 인간의 덕성, 이성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무관 → 인간의 덕성도 진화의 산물이며, 그런 점에서 자연의 일부라고 나는 생각한다
  • 조지 웰즈 - 새로운 에너지
    • ‘고삐 풀린 세계’라는 소설의 일부
    • 기술 발전과 인간의 책임
  • 로라 페르미 - 성공
    • 최초의 핵분열 실험 순간의 기록
  • 사무엘 호우트스미트 - 과학 게슈타포
    • 나치 독일하 과학의 우습고 비극적인 에피소드들
  • 지그문드 프로이드 -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
    • 프로이드 꿈의 해석 사례: 지인의 죽음에 슬퍼하는 꿈은 그 사람의 죽음을 바라는 잠재의식의 발현
      • 이렇게 자신있게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한 이야기, 주장들인가?
      • 의학의 다른 분야도 이렇게 사례 중심인가?
  • 버트런드 러셀 - 과학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과학
    • 과학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도, 쇠퇴할 수도 있음
    • 문명의 장래는 심리학, 즉 욕구에 달려있음
      • 이는 과학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
      • 인류애라는 교훈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
  •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- E = mc^2
    • 질량-에너지 등가법칙에 대한 간단한 설명
  • 루이스 토머스 - 7대 불가사의
    • 인류를 포함한 생명현상과 그 터전인 지구의 신비